About hangangups1976

UPS 제조업 한강기전

view_img.php-2
Written by hangangups1976

UPS 우수공동상표,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

view_img.php-2

 

글로벌기업들이 잠식한 국내 UPS(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시장에서 중소기업들이 모여 국산기술로 개발한 제품이 외면 받고 있다. 침체된 UPS시장을 극복하고 중소기업의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우수공동상표가 공공기관의 무관심과 제도적 미비로 빛을 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3년 UPS업계에선 대표법인·연구소인 아이에프텍을 중심으로 대농산업전기와 대한전력전자, 성신전기공업, 영신엔지니어링, 한강기전 등 6개 기업이 모여 공동브랜드를 만들었다. 
글로벌 기업들이 장악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업의 경쟁력으로 통하는 특허와 기술을 공유하는 결단을 내린 것이다.
‘유피에스다(UPSDA; UPS Developmen Asociation)’로 이름 붙여진 이 공동 상표는 첨단 특허기술을 반영한 신제품을 개발해 조달청으로부터 ‘우수조달 공동상표 물품’으로 지정받으면서 기술력을 인정받기도 했다. 
우수조달공동상표로 등록되면 경쟁 입찰이 아닌 수의계약 방식으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어 중소기업의 판로지원에 유용한 제도로 통하지만 현실은 열악하기만 하다.

◆우수조달공동상표 제도 있으나마나…“공공기관·공기업 구매 꺼려” 
UPSDA는 우수조달공동상표로 등록됐지만 막상 실적은 저조하다. 공공기관이나 공기업의 일선 담당자들이 제품 구매를 꺼리기 때문이다. 
2년간 UPSDA의 조달시장 실적은 단 7건에 그쳤다. 등록된 첫 해(2013년)에는 1건, 이듬해에는 6건, 올해는 아직까지 판매실적이 없다. 
UPSDA의 한 관계자는 “지금껏 만나본 대부분의 공공기관·공기업 구매 담당자들은 우수조달공동상표로 지정된 제품이 국가계약법에 따라 수의계약이 보장돼 있어도 혹시 모를 구설수에 휘말릴까봐 구매를 꺼려했다”면서 “사업자를 지정해 수의계약하기 때문에 구매담당자들은 감사 등을 받을 때 말이 나오는 것을 우려해 보통 경쟁 입찰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우수한 제품에 대한 공공기관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가 현장에선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선 구매 담당자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한 이유다.
더욱이 우수조달공동상표는 의무구매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LED 등 다른 품목의 사정도 이와 비슷하다. 정부나 공공기관에서의 실적이 없다 보니 해외수출은 엄두도 못 낸다”면서 “소기업이 연구소까지 갖추고 기술개발에 나서기에는 비용이나 인력 면에서 어려움이 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수조달공동상표를 만들었지만 이마저도 실질적인 효과가 없는데 누가 이 같은 제도를 활용하겠는가”라고 말했다.

◆계약범위도 해마다 축소돼…“정부 차원의 제도적 보완 필요”
제도적 미비도 우수조달공동상표에 대한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구매실적이 저조한 이유로 꼽힌다. 수의계약의 범위가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국가계약법과 지방계약법에 따르면 우수조달공동상표 물품 수의계약 범위는 정부와 지자체의 경우 건당 2억1000만원 이내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은 건당 7억4000만원이다.  
문제는 계약규모가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는 데 있다. 우수조달공동상표의 계약범위는 2년마다 갱신되는데 4대 기축통화(SDR)인 달러화,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를 기준으로 산정된다.
정부·지자체와 공기업·준정부기관 금액은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2000만원과 5000만원씩 떨어졌다. 
조달청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가 계속 침체일로에 있어 일종의 가상통화인 SDR이 감소하고 있다”며 “이 영향으로 우수조달공동상표의 계약범위도 떨어지고 있는데 당분간 이러한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건당 계약규모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보니 대규모 수주를 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는 게 사실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공기관과 공기업의 일선 담당자들이 우수조달공동상표에 대한 구매를 꺼리는 가운데 계약범위도 계속 떨어지니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며 “의무구∙계약범위 확대 등 정부차원의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0
view_img.php
Written by hangangups1976

전기조합, 소기업우선구매 활성화 등 건의

view_img.php

 

‘소기업제품 우선구매제도를 활성화시켜달라. MAS(다수공급자계약제도) 신청시 납품실적을 완화해달라.’
전기조합(이사장 곽기영)은 11일 오후 경기도 분당 전기조합 회의실에서 김상규 조달청장을 초청해 업계 현안과 애로사항에 대한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참석한 업계 CEO들은 우선 소기업제품 우선구매제도에 대한 조기정착을 건의했다. 소기업제품 우선구매제도는 소기업과 소상공인이 공공조달시장에서 수주를 확대할 수 있는 제도인 만큼 조달청이 적극 홍보해달라는 것이다. 
또 우수조달물품 지정을 위한 기술심의회에 현장 내용을 잘 아는 조합 전문가를 심사위원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청했다. 
협동조합의 공동기술 개발 활성화를 위해 조합이 우수조달물품 지정을 받고 계약의 주체가 돼 조합원과 공동 계약을 이행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도 언급됐다. 
이와함께 추정가격 5000만원 이하 소액 중소기업 물품은 조합추천수의계약 제도를 의무화해달라고 건의했다. 
MAS 신규 신청시 납품실적을 3건이상 제출해야 하는 현 제도를 완화해달라는 요청도 나왔다. MAS 적격성평가 전산시스템 과 조달청 원가산정 프로그램의 개선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상규 조달청장은 “소기업제품 우선구매제도는 중기간 경쟁제품제도와 충돌하는 부분이 있다”면서 “수요기관은 중기간품목으로 구매해도 되기 때문에 조달청에서 소기업제품 우선구매를 권장하기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김 청장은 또 “협동조합이 직접생산의 주체가 되면 공공기관과 계약을 맺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검토해보겠다”고 언급했다.
또 “조합추천소액수의계약의 의무화는 힘들다고 본다”며 “MAS 신청시 납품실적 완화는 소기업 배려 차원에서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곽기영 전기조합 이사장, 이태호 파세텍 대표, 은종환 삼광산전 대표, 박상기 삼풍전기 대표, 송한근 한강기전 대표, 박대전 이앤에이치 대표, 김영종 대농산업전기 대표, 김성조 국제통신공업 대표, 이승철 화승전기 대표, 이기현 성신전기공업 대표 등이 업계를 대표해 참석했다. 
조달청에선 김상규 청장을 비롯해 백명기 구매사업국장, 강신면 구매총괄과장, 김일수 자재장비과장, 유문형 쇼핑몰기획과장 등이 참석했다. 

0
4beb44860f27e
Written by hangangups1976

갑작스런 停電에 웃는 UPS 업체들

4beb44860f27e

 

한강기전 등 구매문의 쇄도…시장규모 年3000억

초유의 대규모 정전사태 이후 무정전 전원장치(UPS)가 주목받고 있다. 갑작스런 정전사고에도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UPS를 설치한 기업이나 건물들은 이번 정전사태의 피해를 입지 않은 덕분이다. 한강기전, 이화전기, 성신전기 등 주요 UPS 제조업체들은 이 덕분에 최근 구매 문의가 부쩍 늘었다고 전했다.  
국내 UPS 1위 업체인 한강기전(사장 송한근)은 요즘 구매 문의가 평소보다 2배가량 늘었다고 밝혔다. 시중은행 등 금융권,한국전력,원자력발전소 등에 매년 150~200개의 UPS 제품을 공급하고 있는 이 회사는 최근 정전 피해를 줄이려는 수요가 늘면서 올 하반기와 내년에 UPS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한근 사장은 “상당수 금융기관이나 관공서,대형건물의 70~80% 이상에 UPS나 자가발전기가 설치되면서 최근 3,4년 새 UPS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였다”며 “이번 정전사고로 UPS 수요가 다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화전기에도 최근 구매 문의가 늘고 있다. 최재근 영업이사는 “대형 건물은 물론 일반 사무용 건물에도 정전 피해를 막기 위해 UPS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UPS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은행 등의 전산센터,발전소 제어시설 등 정전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것으로 일종의 축전지다. 평상시에 축전지에 전기를 저장했다가 정전이 되면 저장된 전기를 공급해준다. 은행 지점에는 대개 10~15㎾급,일반 건물은 50~100㎾,관공서 등은 100~300㎾급의 UPS를 설치한다. 10㎾급 제품은 400만원,100㎾급은 3500만~4000만원 안팎이다. 용량에 따라 최소 30분에서 최대 2~3시간 동안 전기를 공급해준다. 현재 한강기전 등 30여개 업체들이 UPS를 제조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는 연간 3000억원 안팎이다.

0
IMG_1286
Written by hangangups1976

‘무방비 국내 UPS시장 우리가 지킨다’

IMG_1286

 

UPS개발협의회, ‘UPS DA’ 공동상표 개발
우수조달 공동상표 지정, 회원사 공동목표 달성 

“이제 힘든 과정은 일단 지났으니 원래의 목표를 향해 힘을 합쳐 나가는 일만 남았습니다.”
지난 3월 공동상표 등록을 완료한데 이어 6월 우수조달 공동상표물품지정을 확정한 UPS개발협의회 이길호 간사(아이에프텍·주 대표)는 회원업체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까지 쉽지만은 않았던 그간의 과정을 되새기며, 앞으로는 그 동안의 과정에서 도출됐던 문제점과 경험을 현재의 결과물에 접목시켜 당초의 목표를 향해 부단히 전진할 것이라는 굳은 의지를 내비쳤다.
회원사 공동의 힘으로 혼자서는 불가능했던 목표를 가능으로 바꾸기 위해 (주)한강기전, 대농산업전기(주), (주)영신엔지니어링, 성신전기공업(주), 대한전력전자(주), 아이에프텍(주) 등 국내 6개 UPS업체들이 모여 만든 UPS개발협의회는 지난 5년간 회원사들의 협력을 통해 ‘UPS DA’라는 공동상표를 만들어 우수조달공동상표물품지정을 받는 쾌거를 이루었다. 그간 다른 UPS업체들도 이를 위한 활동을 펼치기도 했지만 회원사들의 협조미비 등으로 중도에 중단되는 사례도 있었지만 UPS개발협의회는 결성 당초의 목적을 위해 회원사들이 결집, 주위에서의 의문의 눈길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공동의 목표를 이루는데 성공했다. “우리가 개발한 공동브랜드 제품이 우수한 것이 사실이지만 최고라고 자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최소한 물밀듯이 치고 들어오는 외국산 제품에 무방비 상태였던 국내시장을 우리 협의회의 힘으로 어느 정도 지켜낼 수 있다는 자부심은 지니고 있고, 또 그것이 가장 큰 보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길호 간사는 이번의 성과를 크게 내세우지 않으면서도 협의회의 노력이 힘없는 국내시장을 보호하는 방패막이 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상당한 자부심을 내비쳤다. UPS개발협의회의 이번 성과는 이해관계가 다른 업체들이 뭉쳐 공동상표라는 공통된 목표를 이루어냈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가 있지만 이번 공동상표가 국내에서 11번째라는 점에서 특히 우리 전기계에 던져주는 의미가 남다를 뿐만 아니라 앞으로 이러한 방향으로 나가고자 하는 전기업계에 모범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물론 그동안의 과정에서 회원사들 간의 갈등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공동의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목적의식이 더 뚜렷했기 때문에 서로가 조금씩 양보하면서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는데 대해 회원사들에게 협의회를 대표해 감사드리고, 또 이러한 회원사들의 전체를 위한 노력이 앞으로의 우리 행보에 밝은 전망을 던져주고 있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개발비용 분담을 비롯해 공동상표를 개발하고 등록하기까지 크고 작은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공동의 목표를 위해 회원사 각각이 지니고 있는 노하우를 내놓으면서 전체의 목적을 매진한 것이 지금의 결과를 만들었다고 말하는 이 간사는 이 때문에 UPS개발협의회의 미래는 밝을 수밖에 없다고 자신한다. 또 비록 공동상표 제작을 위해 만만치 않은 비용이 투입된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통해 공동구매 등 원가절감 등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부분에서 판매증가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회원사 모두의 선택이 옳았다는 것을 모두가 공감하고 잇다는 것이 이 간사의 설명이다.
 
“지금은 우선 UPS부터 시작했지만 지금까지의 과정과 경험으로 다른 부분으로의 접목이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우리의 능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 간사는 앞으로 그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회원사들의 협력을 통해 개발에 있어 보다 더 적극적으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수조달 공동상표등록이 되자마자 중기청으로부터 우리 제품이 우선구매 대상으로 분류돼 우리에게는 너무 기쁜 일이 아니라고 할 수 없지만 이 모든 것이 협의회를 중심으로 회원사가 한결 같이 노력해 온 것에 대한 선물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 간사는 회원사 공동의 목적이 일단 달성된 상황에서 이제는 이를 바탕으로 모두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또 다른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하고, 향후 마케팅 부분에서 회원사 간 경합이 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회원사가 상대방의 측면에서 배려하는 자세로 모두의 발전을 이끌어 나가는 모습을 보이도록 노력하겠다며, 앞으로 UPS협의회를 중심으로 발전해 나가는 자신들의 모습을 업계가 주목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0
20일 한강기전을 방문한 조셉 고렌 감마트로닉스 회장이 송한근 한강기전 사장과 모듈형 UPS제품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Written by hangangups1976

무게·크기 확 줄인 UPS 국내서도 개발

han.gisa2

 

무게와 크기를 대폭 줄인 모듈타입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가 처음으로 국산화된다. UPS는 지난달 발생한 9·15정전사태에서도 금융권이나 기업 산업시설 보호에 크게 활용됐다.
한강기전은 20일 이스라엘 감마트로닉스와 서울 양평동 본사에서 기술이전 협약을 맺고 모듈형 UPS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한강기전은 감마트로닉스로부터 콘트롤모듈 등 핵심기술을 이전받아 국내에서 처음으로 모듈형 UPS를 개발 및 생산한다. 협약 내용에 따라 양사는 기술과 엔지니어 교류도 진행한다. 한강기전은 2009년부터 감마트로닉스의 모듈형 UPS 국내 총판 비즈니스와 자체 UPS를 개발해 오다가 기술과 생산력을 인정받아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조셉 고렌 감마트로닉스 회장(72)은 “한국의 고도화한 IT인프라는 모듈형 UPS 진입에 충분히 잠재적”이라며 “협약은 한강기전의 생산시설과 R&D능력을 확인한 후 최종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향후 한강기전의 제품을 OEM 공급받아 동남아 등 해외시장에도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감마트로닉스는 2003년 모듈형 UPS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선두업체로 현재 97개국에 수출하며 연간 500억원 매출을 올리고 있다. 모듈형 UPS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전력반도체(IGBT)를 채택한 응용한 설계 기술로 기존 UPS에 비해 크기와 무게가 3분의 1수준이다. 산업시설물을 추가할 때 UPS를 교체할 필요 없이 모듈만 추가하면 사용할 수 있어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한강기전은 10㎸A급부터 500㎸A제품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10㎸A는 은행에서 사용하는 ATM기기 5대를 운영할 수 있는 용량이다.
송한근 한강기전 대표는 “높은 가격과 호환성 등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외산제품과 달리 가격도 20% 이상 낮추고 시설현장을 고려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겠다”며 “최근 정전 사태로 문의가 늘고 있는 상황에 모듈형 UPS는 관리와 운영이 쉬어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0
Written by hangangups1976

안녕하세요!

워드프레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것은 첫번째 글입니다. 이 글을 고치거나 지운 후에 블로깅을 시작하세요!

Written by hangangups1976

Video Post Full-Width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tetur sadipscing elitr, sed diam nonumy eirmod tempor invidunt ut labore et dolore magna aliquyam erat, sed diam voluptua. At vero eos et accusam et justo duo dolores et ea rebum. Stet clita kasd gubergren, no sea takimata sanctus est Lorem ipsum dolor sit amet. Lorem ipsum dolor sit amet, …

더 보기
  • colummainbg-1280x720
Written by hangangups1976

Vivamus ut augue a dolor

There are many variations of passages of Lorem Ipsum available, but theses majority have suffered alteration in some form, by injected humour, or randomised words which don’t look even slightly believable. It uses a dictionary of over 200 Latin words, combined with a handful of model sentence structures, to generate Lorem Ipsum which looks reasonable.

더 보기
Written by hangangups1976

Lorem Ipsum is that

There are many variations of passages of Lorem Ipsum available, but theses majority have suffered alteration in some form, by injected humour, or randomised words which don’t look even slightly believable. It uses a dictionary of over 200 Latin words, combined with a handful of model sentence structures, to generate Lorem Ipsum which looks reasonable.

더 보기
Written by hangangups1976

Flannel Authentic Four

There are many variations of passages of Lorem Ipsum available, but theses majority have suffered alteration in some form, by injected humour, or randomised words which don’t look even slightly believable. It uses a dictionary of over 200 Latin words, combined with a handful of model sentence structures, to generate Lorem Ipsum which looks reasonable.

더 보기
1 2
Fatal error: Call to undefined function tribe_is_upcoming() in /home/hangangups/public_html/wp-content/themes/remould/sidebar-right.php on line 167